Kim Mi Jin
교수
학력 |
1996
국립파리1대학교, 팡데옹-소르본느 조형예술학 박사, 파리
논문 : 동양적 정신적 체험에 의한 삶과 죽음의 인간의 이미지
지도교수 : 피에르 바께
1989
국립파리1대학교, 팡데옹-소르본느 조형예술학 박사준비과정, 파리
1988
국립파리8대학교, 생-드니 조형예술학부, 석사 파리
1987
국립파리8대학교, 생-드니 조형예술학부, 파리
1983
국립부산대학교, 미술교육학과, 부산
|
경력 |
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교수
( 미술관박물관 경영, 미술행정, 전시기획 전공교수)
2015
부산비엔날레 이사, 장욱진미술관운영위원, 양주시 정책자문위원, 대구 청년미술프로젝트 운영위원장, 외교부 동남아문화원건립위원, 마을미술프로젝트추진위원 코리안 아티스트 프로젝트 운영위원
2014
국립한글박물관 개관전 기획자, 경기도미술관박물관평가위원, 사립미술관심의위원,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지원 시각예술전문평가위원
2013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책임심의위원, 서울특별시미술작품심의위원
2012-14
외교부 아웅산 테러추모탑 기획자, 독립기념관이사
2012 2012
청년미술프로젝트 감독, 국립생태원건립위원, 여수엑스포자문위원
2012
공공박물관 미술관 특별전시 프로그램지원심사위원, 서울역사박물관운영자문위원
2009-2010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책임심의위원
2007-2010
예술의전당 전시예술감독
2008
부산국제비엔날레 컨설턴트커미셔너
2007
인천여성국제비엔날레 특별전 커미셔너
2004-2007
세오갤러리 디렉터
2001 ~ 2004
영은미술관 부관장
2000 ~ 2001
오르세 미술관 한국전 아트디렉터
1996 ~ 1997
광주비엔날레 유럽담당 큐레이터
|
전시기획 | 2014
국립한글박물관 개관기념특별전“세종대왕, 한글문화시대를 열다”, 국립한글박물관, 서울
2013
빙고전시 중 “흐르는 일상”, 세종문화회관, 서울
2012
메타제국, 2012대구청년미술프로젝트, 엑스코, (사)대구사진비엔날레, 서울
2010
색(SAIC) 욕망에서 숭고까지, 홍익대현대미술관, 서울
접속지대, 세오갤러리, 세줄갤러리, 서울
2009
2009재외한국청년미술제,USB전, 예술의전당, 서울
2008
세계속의 한국미술-파리전, 예술의 전당, 서울
2007
감수성-핑크, 사이보그, 불완전한 구조, 인천여성국제비엔날레 문예회관, 인천
2006
송번수 개인전
크로스오버 2006
2005
크로스오버 2005
이만익 개인전
2004
크로스-오버 2004 세오갤러리
김기철 개인전- 세오갤러리
영은레지던시전-나는 너와 같이 너는 나와 같이전, 영은미술관
2003
메두사의 눈 미셀블롱델
그리는 회화-혼성회화의 제시전
영은레지던시전
2002
구색잡기전, 영은미술관
돌 속의 화가들전, 영은미술관
저절로 자연되기전, 영은미술관
Welcome to my space Fantasy전, 영은미술관
동방의 숨결전, 영은미술관
Neo Painting전, 영은미술관
Thomas Mowotny전, 영은미술관
판전, SADI 갤러리
now전, SADI 갤러리
2001
한국현대미술-시대의 표현, 상처와 치유전, 예술의 전당
도시정원전, SADI 갤러리 (삼성전자 후원)
디지털시티전 SADI 갤러리 (삼성전자 후원)
오르세 미술관 한국전,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분관
무한광명새싹알통강추전 총기획 (정독도서관,한국예술종합학교,계원조형예술대학후원)
2000
조각놀이공원전, 성곡미술관 (문예진흥원 후원)
1999
CoCA (container of contemporary art) 기획전
비디오 V.I.D.E.O전, 양평 바탕골 미술관
|
전시진행 |
1996 폴란드 현대미술전 “자연과 문명의 여행 13인전” 진행, 광주시립미술관
1996 광주비엔날레 “지구의 여백: 토/생성전” 베르나르 마카데 전시진행
|
논문 |
<세종대왕, 한글문화시대를 열다> 전시 속 홍순명, 정연두&이지원작품을 통해 본 사고의 충돌, 한국영상문화학회, 영상문화 26호, 2015
현대미술안의 비물질개념과 동양정신의 관계연구, 예술과 미디어, VOL.13, AUGUST, 2014
국제 동시대 미술전의 협업매커니즘연구: 예술의 전당 U.S.B전시를 중심으로, 한국영상학회20호, 2012
젊은작가들의 경향으로 살펴본 오늘의 미술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2009
|
상 | 문화부장관상 2회(2014, 12. 31), (1998.5.27.), 외교부장관상(2014, 9, 30) 경기도지사상(2003.9.28), |
학회 | 한국영상문화학회이사, 한국 영상미디어협회 이사 |
기타 | 프랑스정부 초청 3주 프로그램 문화의 집 전문가과정 참여 |
Kim Sung Hee
교수
학력 |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 취득
NYU대학원 art administration 수학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조형예술학과 박사 취득
|
경력 |
뉴욕 MoMA, Dia Center 큐레이터 인턴
서미갤러리 기획실장
카이스 갤러리 기획실장
‘2000광주비엔날레 특별전 큐레이터
대안공간 Project Space 사루비아다방 디렉터
2002 media_city Seoul 국제심포지엄 디렉터
중국 북경 따샨츠 798 문화교류공간 이음 디렉터
2007국제인천여성미술비엔날레 본전시 커미셔너
|
전시기획 |
2006. 4. - 5. 북경 따샨츠 798 스페이스 이음 Endless Clon (함진, 김창겸, 김준, 션샤오민, 리송화) 外..
2002. 4. - 12. 미디어_시티 2002 국제심포지엄 기획 미디어_시티 2002 국제심포지엄 기획 外..
2000. 6. - 10. ‘2000광주비엔날레 ‘2000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인간의 숲, 회화의 숲’ 전
|
갤러리 미건 | 백남준 비디오설치작품전/ -코디 최 재미작가작품전 외 다수 |
학위논문 외 다수 | 갤러리 브랜드와 만족 패러다임 중심으로 본 미술시장 활성화 방안 外.. |
논문 외 다수 | 미술시장의 특수성에 관한 연구 外... |
평론 외 다수 | 한국대안공간의 실태와 정체성 外... |
현재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예술기획전공 부교수
Can Foundation 기획이사
파라다이스 문화재단 이사
계원학원 이사
|
이메일 | shnjs@yahoo.co.kr |
김원방
교수

주 연구 및 강의분야 | 포스트모던미술이론, 첨단미디어예술론, 미술비평. |
학위 |
홍익대학교 미술대 조소과 졸.
파리 국립장식미술대학(Arts Deco) 卒 (입체조형/미술이론 복수전공)
파리 1 대학(Pantheon-Sorbonne) 예술학부 석사/ 박사
|
학위논문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 있어 카타르시스 개념의 미학적 해석에 관한 연구」, 1987, 파리국립장식미술대학 석사학위논문
「모더니즘미술과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지속적 관계에 대한 연구」, 1992, 파리 1 대학 석사학위논문
「디지털 예술에 있어서 변형의 문제」, 2002.1. 파리 1 대학 박사학위 논문
|
저서 |
『잔혹극 속의 현대미술: 몸과 권력 사이에서』, 도서출판 예경, 1998
共著『몸의 위기』, 피종호 外, 도서출판 까치, 2004
共著 『기술매체시대의 예술』, 연세대학교 출판부
김원방 편, 『낭비(expenditure)-2008 부산비엔날레 도록』
(출간예정) 共著 『한국현대작가론』(假題), 문화예술위원회 편, 학고재출판사, 2009/5
(출간 예정) 『예술, 가상, 매체- 후기매체시대의 예술과 미학』(2010출간 예정)
|
논문/미술평론 |
「전자매체예술에 있어 시각적 기호의 새로운 위상과 그 한계에 대하여」, 한국미학예술학회논문집, 2002.12
「몰입과 각성 사이: 전자매체예술에 있어 환상과 충동역전의 구조에 대하여」, 현대미술사학회 논문집, 2004.
「잔혹, 조르쥬 바타이유, 그리고 디지털 예술」,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2004.12
「쟈끄 데리다와 해체 그리고 예술의 독해」, 空間, 1989.11 - 1990.2 (I ~III부)
「거울 앞에 선 주체: 전자매체예술에 있어 주체의 개념」, 1996.10
「김홍주 혹은 '그림의 적'」, 국제갤러리 전시도록, 2002.10
「이용백: 미디어아트의 반미학적 지평」, 월간미술, 2006.2
「이우환의 세계, 그리고 세계의 도둑신」, 미술세계, 1997.4
「홍명섭을 괴물처럼 혹은 해석없이 읽는다」, 월간미술, 2004.04
「윤영석의 조각에 있어 심리성, 시간성 그리고 불가능성에 대하여」, 로댕갤러리,2007.2
外... 다수
|
전시기획 |
<不敬 전$gt;, 토탈미술관, 1999.1
<2008년 부산비엔날레$gt; 기획
<不敬 전$gt;, 토탈미술관, 1999.1
<신진작가들의 발언: 비평가들의 제안전$gt;, 프로젝트스페이스 ZIP, 2005.11
공동기획 <도시와 영상전$gt;, 시립미술관, 1998.10
外...
|
수상 |
1989 제 1회 송은문화재단 「유망예술인」선정.
1999 「프랑스 외무성 국립장학재단 학술초청기금」수혜자 선정.
|
경력 | <2008년 부산비엔날레$gt;전시감독, 서울시립미술관, 경기문화재단, 문화예술위원회 등 자문위원 역임. |
현재 | 홍익대 미술대학원 예술기획과 교수 |
이메일 | wonbangkim@hanmail.net |
Kim Yi Soon
교수

학력 |
2002 박사, 홍익대학교 미술사학과
1994 석사,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1985 석사, 홍익대학교 미술사학과
1980 학사, 홍익대학교 미술교육과
|
경력 |
2006 경기도미술관 심의위원
2006 문화재청 연구원
2006 계간조각 편집장
2005 서울대학교 박물관 객원연구원
2005 문화관광부 미술은행운영위원
|
수상 |
2003 MBC한국조각평론상 (MBC문화방송)
|
논문 |
2007 화가로서의 나혜석 연구에 대하여 (나혜석기념사업회)
2007 깁복진의 목조각, <白花> (예경)
2006 1930-1950년대 한국의 모자상:젖먹이는 이미지를 중심으로 (미술사연구회)
2006 '한국적 미니멀 조각'에 대한 재고찰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05 한국 근대 초상조각의 시대적 의미 (국립현대미술관)
2005 한국전쟁과 가족이미지: 가족해체와 복원의 사이 (미술사연구회)
2005 한국 구상조각의 외연과 내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02 한국용접조각과 실존주의 (미술사연구회)
2000 송영수의 용접조각(Welded Sculpture) 연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1998 드가와 발라동의 목욕하는 여성 이미지 (성강문화재단 한국미술연구소)
1996 페미니즘 미술사 연구에 대하여-Block 誌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사교육학회)
1989 폴 고갱: 브르타뉴시기(1886-1890)의 작품 (미술사연구회)
|
저서 |
2007 한국의 근현대미술 (조형교육)
2007 수백가지 천사의 얼굴 (안티쿠스)
2006 여성, 미술, 사회 : 중세부터 현대까지 여성 미술의 역사 (시공사)
2006 비잔틴 미술 (예경)
2005 현대조각의 새로운 지평 (혜안)
2003 거친 쇠붙이에 깃든 영혼 - 철조각의 선구자 송영수 (아트북스)
2001 북유럽 르네상스의 미술 (예경)
|
현재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부교수 재직 |
이메일 | yisoonk@naver.com |